티스토리 뷰


반응형

비문증에 대해서 알고 계시나요? 이름은 낯설지만 한두 번 경험해본 분들은 계실텐데요. 눈앞에 벌레나 먼지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눈앞에 무언가 떠다니는 것도 아니고 눈에 뭐가 들어간 것도 아닌데 시야에 자꾸 뭔가 보이게 되는 증상인데요. 먼지나 벌레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아지랑이나 머리카락 같은 줄의 형태로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특히 흰 벽이나 맑은 하늘 등의 깨끗한 배경이 있을 때 더 심하게 느껴지게 되는데요. 갑자기 눈앞에 이렇게 무언가 보이는 비문증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문증은 우리 눈 속의 유리체가 혼탁해지면서 나타나게 되는 증상입니다. 유리체란 우리 눈 속의 망막과 수정체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투명한 형태의 물질을 말합니다. 우리가 눈으로 무언가 보는 것은 망막 전방에 위치한 유리체를 통과해 망막에 맨힌 상을 보게 되는건데요. 이러한 유리체가 어떤 이유로 혼탁해지면 빛이 유리체를 통과할 때 망막 위에 그림자를 만들게 되고 그것이 벌레나 먼지 등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비문증 원인으로는 노화로 인한 유리체 액화가 진행되면서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리체의 점도 저하로 젤 형태가 액화되면서 유리체를 혼탁하게 합니다.



특히 고도근시의 시력을 가진 사람에게서 유리체 액화 현상이 더 빠르게 진행되므로 비문증이 발생할 확률이 더욱 높습니다.


또는 백내장 수술을 한 경우나 눈 속 출혈을 경험한 후에도 비문증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그 외의 원인으로는 다양한 안과 질환이 있습니다. 망막박리, 망막열공, 포도막염, 당뇨망막병증 등의 질환으로 비문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렇게 비문증은 노화현상에 따른 생리적 비문증과 질환에 의한 병적 비문증으로 나뉩니다. 노화의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인한 생리적 비문증은 눈 건강이나 시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 따로 치료하지는 않습니다. 떠다니는 개체의 수나 크기가 수개월 동안 변함없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갑자기 많은 수의 물체가 떠다니거나 시야를 가린다면 병적 비문증이 의심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이럴 때는 망막질환의 전조증상인 경우가 있으므로 조심하셔야 하는데요. 특히나 비문증 원인 중의 하나인 망막박리의 경우라면 영구실명을 할 수도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링크
댓글